-
주요 배당성장 ETF 비교 (VIG, SCHD, DGRO, SDY, NOBL)주식 2022. 7. 29. 18:40
주요 배당성장 ETF 비교 (VIG, SCHD, DGRO, SDY, NOBL)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금까지 포스팅한 주요 배당성장 ETF VIG, SCHD, DGRO, SDY, NOBL을 비교 분석해보도록 할게요.
VIG SCHD DGRO SDY NOBL 운용사 뱅가드 찰스 슈왑 블랙록 STATE STREET ProShares 운용시작일 2006.4/21 2011.10/20 2014.6/10 2005.11/8 2013.10/9 운용수수료 0.06% 0.06% 0.08% 0.35% 0.35% 자산규모 약 761억 달러
(22.5/31 기준)약 350억 달러
(22.6/24 기준)약 220억 달러
(22.6/29 기준)약 200억 달러
(22.6/30 기준)약 100억 달러
(22.3/31 기준)주요특징 배당금 10년
이상 증가
(시가총액
가중치)채무부담도, ROE, 배당 수익률, 5년간 1주당 배당금 성장률 고려해 기업 선정
(시가총액
가중치)배당 5년 이상 증가시킨 기업들 중 배당성향 75% 이하
(총배당액
가중치)배당금 20년
이상 증가
(배당수익률
가중치)배당금 25년 이상 증가
(동일 가중치)5년간
배당 성장률
(16년 대비 21년)1.5배 1.8배 1.6배 1.5배 1.6배 주가 수익률
(7/22 기준
5년전 대비)59.77% 58.45% 56.07% 35.3% 50.32% 종목분석 링크 https://fresh-jeans.tistory.com/12 https://fresh-jeans.tistory.com/8 https://fresh-jeans.tistory.com/9 https://fresh-jeans.tistory.com/11 https://fresh-jeans.tistory.com/10 지금까지 분석했던 배당성장 ETF 5개를 표로 비교해 보았어요. 운용사의 경우에는 모두 유명한 운용사들이라 운용사 리스크는 고려하지 않아도 될 것 같아요.
운용기간은 VIG와 SDY의 경우에는 금융위기를 겪은 상대적으로 오래된 ETF입니다. 나머지 ETF들은 금융위기를 겪지 않았습니다. 운용기간을 보면 VIG와 SDY가 우위에 있습니다.
운용수수료는 VIG, SCHD, DGRO 3개 ETF가 저렴하며 NOBL, SDY의 경우에는 운용수수료가 비싼 편입니다. 저는 이 이유로 아직 NOBL, SDY는 투자하지 않고 있습니다.
자산 규모는 VIG가 압도적으로 높으며 NOBL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고 나머지 3개 ETF은 유사 수준인 것 같습니다. 다만 모두 100억 달러를 넘는 규모라서 자산규모 면에서 일반 투자자들이 걱정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VIG, SDY, NOBL은 배당성장을 얼마나 오랜 기간 했는지를 주 종목 선정 기준으로 잡고 있습니다. 여기서 기간은 NOBL은 25년, SDY는 20년, VIG는 10년으로 차이가 납니다.
또한 종목별 가중치도 VIG는 시총 순, SDY는 배당수익률 순 그리고 NOBL은 동일 가중치입니다.
이에 반해 SCHD는 채무, ROE, 배당수익률, 배당성장률을 모두 고려해서 종목들을 선정한 후 시가총액 가중치로 종목들을 편입합니다. 우량한 기업들을 선정하는 알고리즘으로 되어 있습니다.
DGRO는 배당성향을 고려합니다. 그래서 편입한 종목들이 무리한 배당급 지급으로 향후 배당 삭감을 할 리스크가 있다면 배제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상대적으로 VIG, SDY, NOBL은 종목 선정 알고리즘이 단순한데 비해, SCHD나 DGRO는 배당성장 기간 외에 추가적인 종목 편입 기준이 있습니다.
5년간 배당성장률은 SCHD가 1.8%로 제일 높습니다. 다만 나머지 4개 ETF들도 1.5% 수준이니 준수한 성적이라고 생각됩니다.
5년간 주가 상승은 SDY가 제일 낮습니다. 35.3%인데 5년간 장이 좋았던걸 생각하면 너무 낮은 수치인 것 같네요. VIG, SCHD, DGRO는 유사한 수준이며 그중에서는 VIG가 제일 높습니다. NOBL은 약 50%으로 살짝 뒤처지네요.
여러 가지를 비교해보았을 때 지난 5년간의 성적만 놓고 보면 SCHD가 제일 우수합니다. 현재 배당수익률도 높은 편이고, 배당성장도 제일 높았으며, 주가 상승률 또한 높았기 때문입니다.
운용수수료 또한 저렴하고요. 상대적으로 짧은 운용기간이 아쉽기는 하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운용기간은 10년 정도면 괜찮다고 봅니다.
SDY의 경우에는 주가상승률이 아쉬우며 운용수수료가 너무 높은 것 같습니다. NOBL 경우에는 현재 배당 수익률이 너무 아쉽고 운용수수료가 너무 좋은 것 같습니다.
VIG나 DGRO는 비슷한 성적인 것 같은데 저는 배당성향을 고려하는 DGRO가 알고리즘 측면에서는 조금 더 나아 보입니다.
저는 현재 5개의 배당성장 ETF 중에서는 배당수익률이 높고 종목 선정 알고리즘이 좋아 보이는 SCHD만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SCHD 매수는 목표치를 달성했고 이제 매달 DGRO를 적립식으로 매수할 예정입니다.
여러 가지 지표들을 비교해보고 본인과 잘 맞는 배당성장 ETF 선택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상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EV/EBITDA란 무엇인가? PER와의 차이점 (0) 2022.11.29 신흥국 배당 EFT FNDE 분석 (0) 2022.11.07 배당성장 ETF VIG 분석 (0) 2022.07.07 배당성장 ETF SDY 분석 (0) 2022.07.03 배당귀족주 ETF NOBL 분석 (0) 2022.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