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V/EBITDA란 무엇인가? PER와의 차이점주식 2022. 11. 29. 14:29
EV/EBITDA란 무엇인가? PER와의 차이점
이번 포스팅에서는 EV/EBITDA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할게요. 본글을 읽기 전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등의 재무제표 주요 개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시면 아래 링크를 눌러주세요.
https://fresh-jeans.tistory.com/2
재무제표 주요 지표 개념 정리
재무제표 주요 지표 개념 정리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재무제표 주요 지표들의 개념을 정리하고, 재무제표 보는 법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재무제표 매출액 재무제표 볼 때 가장 먼저 보
fresh-jeans.tistory.com
EV/EBITDA는 'Enterprise value / Earnings before interest, tax,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의 약자예요.
EV는 기업가치로서 시가총액에 순차입금(전체 차입금 - 현금성 자산)을 더한 값이에요. 즉 기업가치는 주주의 가치(시가총액)에 채권자의 가치(순차입금)를 더한 값이 되는 거예요.
실제로 기업을 인수한다면 부채를 합해서 인수해야겠죠. 그래서 기업가치는 실제로 기업을 인수하는데 얼마가 필요한지를 보여주는 거예요.
EBITDA는 이자, 세금, 감가상각비를 차감하기 전의 이익이에요. 부채는 갚았다고 보고, 감가상각비는 실제로 나가는 현금이 아니기에 실제로 영업을 통해 들어오는 현금이 어느 정도인지를 보는 거예요.
감가상각비는 예를 들어 100만 원짜리 설비를 구매해서 10년 정도 쓴다고 가정해볼게요. 그럼 비용으로 100만 원이 나가고 설비가 자산으로 잡혀서 100만 원이 자산에 추가가 되어요. 결론적으로 총 자산 변화는 없겠죠.
그리고 매년 100만 원의 가치인 설비가 10만 원씩 감가상각비로 가치가 깎이는 거예요. 일단은 감가상각비는 회계에서 기입하는 방식으로 실제로 매년 현금이 유출되는 건 아니라는 것만 아시면 될 것 같아요.
결론적으로 EV/EBITDA는 기업의 부채를 포함해서 인수했을 때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현금창출 능력으로 얼마 만에 원금이 회수 가능한지를 보여주는 거예요.
EV/EBITDA는 부채를 포함해서 기업을 평가하기 때문에 재무상태를 반영할 수 있어요. EV/EBITDA는 기업이 M&A를 할 때나 대규모 투자로 감가상각비가 일시적으로 급증한 기업을 분석할 때 많이 사용합니다.
PER는 EV/EBITDA와 비교했을 때 기업가치를 주주가치로만 보아서 부채를 고려하지 않아요. 또한 세금, 감가상각비 등을 모두 포한 당기순이익으로 원금을 회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는 지표예요.
https://fresh-jeans.tistory.com/3
PER 및 PBR 의미 (저평가 종목 찾기)
PER 및 PBR 의미 (저평가 종목 찾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PER 및 PBR의 의미 및 저평가 주식 종목 찾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할게요. PER PER는 'Price Earning Ratio'의 줄임말이에요. 주가를 1주당
fresh-jeans.tistory.com
업종, 상황 등에 따라 주가가 적정한지 분석할 때 보조지표로 EV/EBIDTA를 사용할 때도 있고 PER를 사용할 때도 있어요. 이상 포스팅을 마치도록 할게요. 감사합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의 회전율을 확인하는 지표 정리 (0) 2022.12.11 기업 부채가 적정한지 판단하는 지표 정리 (0) 2022.12.04 신흥국 배당 EFT FNDE 분석 (0) 2022.11.07 주요 배당성장 ETF 비교 (VIG, SCHD, DGRO, SDY, NOBL) (0) 2022.07.29 배당성장 ETF VIG 분석 (0) 2022.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