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ER 및 PBR 의미 (저평가 종목 찾기)주식 2022. 6. 17. 10:35
PER 및 PBR 의미 (저평가 종목 찾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PER 및 PBR의 의미 및 저평가 주식 종목 찾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할게요.
PER
PER는 'Price Earning Ratio'의 줄임말이에요. 주가를 1주당 당기순이익으로 나눈 값이에요. 당기순이익 등과 같은 재무제표의 기본 개념들이 익숙지 않으시면 아래 링크를 눌러주세요.
https://fresh-jeans.tistory.com/2
재무제표 주요 지표 개념 정리
재무제표 주요 지표 개념 정리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재무제표 주요 지표들의 개념을 정리하고, 재무제표 보는 법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재무제표 매출액 재무제표 볼 때 가장 먼저
fresh-jeans.tistory.com
PER의 분자, 분모에 각각 주식수를 곱하면 '시가총액/당기순이익'이 될 거예요. 시가총액이 10억이고 당기순이익이 1억이면 PER는 10이 되는 거죠.
시가총액이 이 회사를 인수할 때 드는 비용이라고 생각하면, PER는 이 회사를 인수했을 때 몇 년 만에 원금을 회수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고도 볼 수 있어요.
PER이 10이라고 한다면 10년 후 원금 회수가 가능한 거죠. 일반적으로 PER는 10이 적정하다고 보고 그보다 높으면 고평가, 낮으면 저평가라고 해요.
하지만 이 10은 절대적인 수치가 아니에요. 대표적으로 테슬라 같은 성장주들은 PER 배수가 매우 높게 설정되어 있어요. 그 이유는 지금은 PER가 높지만 당기순이익이 장기적으로 급격하게 오를 거라고 보기 때문이에요.
만약 당기순이익이 4~5배 올라간다면 PER는 현재 수준의 25~30%가 되겠죠. 그래서 PER는 현재 상태만을 나타내기 때문에 미래에 당기순이익이 어떻게 될지도 고려해서 투자해야지, PER만 딱 보고 투자하시면 안 돼요.
PER가 너무 낮은 종목들의 경우에는 미래 성장 가능성이 없는 기업들이 많아요. 그래서 성장 가능성이 높으면서 PER가 낮은 종목을 찾는 게 쉬운 일은 아니에요.
PBR
PBR는 'Price Bookvalue Ratio'의 약자예요. 주가를 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값이에요. 즉 시가총액 대비 가진 자산이 얼마인지를 나타내는 값이죠.
PBR이 1보다 낮으면 지금 당장 회사가 상장폐지를 당해도 주주들은 순자산을 나눠갖기 때문에 이득이에요. 1보다 높으면 손해를 보게 될 거고요.
그래서 일반적으로 PBR이 1보다 높으면 고평가, 낮으면 저평가 이렇게 얘기해요. 하지만 PER과 마찬가지로 PBR도 딱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에요.
먼저 이 자산에는 재고, 생산시설 등도 잡히는데 미래에 재고가 팔리지 않는다면 의미가 없는 자산이 되겠죠. 그래서 PBR 뿐만 아니라 회사가 보유한 현금, 부동산, 차입금 등을 종합적으로 봐야 돼요.
또 제조업들은 공장 등이 있기 때문에 PBR을 어느 정도 지표로서 활용이 가능하지만, 애플 같은 회사들은 PBR이 의미가 없어요.
애플은 벌어들인 현금을 차곡차곡 쌓아놓기만 하는 게 아니라 자사주 매입, 배당 등을 통해 주주들에게 환원하고 있어요. 그래서 시가총액이 계속해서 높아지고 자산은 줄면서 PBR이 엄청 높아요.
또 애플은 설비 투자를 많이 하지 않고, 애플의 브랜드 가치, 기술력 등은 자산으로 잡히지 않기 때문에 PBR이 큰 의미가 없게 되는 거예요.
PBR도 결론적으로 PER와 마찬가지로 참고적으로 활용할 지표 중 하나일 뿐 PBR 하나만 믿고 투자를 진행해서는 안돼요.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당귀족주 ETF NOBL 분석 (0) 2022.07.01 배당성장 ETF DGRO 분석 (0) 2022.06.30 배당성장 ETF SCHD 분석 (0) 2022.06.29 미국 배당주 종목 선정 시 고려사항 (0) 2022.06.22 재무제표 주요 지표 개념 정리 (0) 2022.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