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 아파트 입지 분석 방법부동산 2022. 6. 24. 10:14
수도권 아파트 입지 분석 방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수도권 아파트 투자하실 때 입지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1. 직주근접
제일 먼저 보아야 할 건 역시 직주근접이 아닐까 해요. 직장이 가까워야 퇴근 후 여가시간이 확보되고, 출퇴근 피로가 적기 때문이죠.
직장이 많은 지역과 가까울수록 입지가 좋다고 할 수 있겠죠. 대표적으로는 서울 내 직장이 가장 많은 강남과의 접근성을 보고, 그 이후에는 여의도 및 광화문 접근성을 보는 게 좋아요.
경기도의 경우에는 도어 투 도어 기준 편도 1시간 이내이면 괜찮다고 봐요. 또 출퇴근 시간은 지하철 기준으로 잡으시는 게 좋아요.
지하철 기준으로 잡았을 때 중요한 건 환승 횟수예요. 환승을 한 번 하는 것 까진 괜찮은데 2번 이상부터는 부담이 느껴지기 때문이에요.
또 판교, 수원 등 경기남부에도 대기업들이 많이 있어요. 그래서 이러한 대기업들과의 직주 근접도 같이 고려하시면 좋아요.
예산이 된다면 당연히 서울 내 핵심지역으로 가는 게 제일 좋겠죠. 근데 그렇지 않다면 강남 및 경기남부 출퇴근이 용이한 지역이 좋지 않을까 생각해요.
하지만 요즘은 집값이 많이 올라서 이러한 지역들도 매수하기가 쉽지는 않을 거예요. 그럴 경우 강남 접근성, 여의도/광화문 접근성, 경기남부 대기업 접근성 이러한 순으로 아파트를 알아보면 좋지 않을까 생각해요.
2. 학군
우리나라는 학군이 입지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해요. 아파트는 가족이 사는 공간이다 보니 부모님들은 아이들이 안전하고 바르게 클 수 있는 환경을 원하기 때문이죠.
또 좋은 성적을 내고 면학 분위기인 학교를 아무래도 선호하기 때문에 학군이 좋은 지역들은 수요가 끊이지 않는 편이에요.
일단 먼저 보실 건 도보로 갈 수 있는 초등학교가 주변에 있는지에요. 중학교부턴 버스를 타고 간다고 해도 초등학교는 도보로 가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이죠.
또 초등학교를 갈 때 큰 도로 등 사고가 날만한 요소가 적으면 더 좋겠죠. 요즘은 초품아라고 해서 아파트에서 길을 건너지 않고 갈 수 있는 초등학교가 있는 곳을 선호해요.
중학교는 '아실'이라는 어플에서 학업성취도 및 특목고 진학률을 보실 수 있어요. '아실' 어플에서 아파트명을 검색하면 진학하게 되는 중학교가 어디인지와 학업성취도 및 특목고 진학률이 나와요.
학군에 대한 정보를 상세하게 볼 수 있으니 관심이 있는 지역이라면 한번 꼭 검색해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이 외에도 유명한 학원가들이 주변에 있으면 좋아요. 걸어서 갈 수 없으면 부모님들이 태워서 가기 편리한 지역이면 좋겠죠.
3. 역세권
저는 개인적으로 아파트 투자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게 역세권이에요. 네이버 지도 검색 기준으로 도보 10분 내로 역에 도착할 수 있는 아파트를 선호해요.
역이 주변에 있으면 이동하기도 편리하고, 상권도 잘 형성되는 경우가 많고 여러모로 좋아요. 여건상 역세권 아파트가 어렵다면 버스로라도 한 번에 역에 갈 수 있는 아파트가 좋겠죠.
4. 인프라
주변 인프라도 중요한 요소중 하나예요. 백화점, 아웃렛, 대형마트 등 선호하는 시설들이 많이 들어와 있으면 좋겠죠. 또 대형병원 또는 여러 동네 병원들이 다양하게 있으면 좋고요.
상권은 쉽게 생각해서 스타벅스 같이 주변에 이러한 것들이 있으면 좋겠다 하는 것들이 많이 있으면 많이 있을수록 좋겠죠. 또 상권이 잘 발달되어 있으면 좋지만 그렇다고 유흥시설들이 너무 많으면 그건 또 마이너스 요소가 돼요.
5. 호재
마지막으로 볼 건 호재예요. 주변에 GTX가 생기거나 역시 생기거나 또는 근처에 있는 역이 연장되거나 하는 등의 호재가 있으면 좋아요. 이러한 호재가 언제 실현될지 명확하면 더 좋고요.
저는 개인적으로는 착공하기 전의 교통 호재들은 크게 신경 쓰지는 않는 편이에요. 언제 시작할지, 언제 완성될지, 진짜로 완성되기는 할지 확신이 없기 때문이죠.
미래의 호재보다는 현재 이 지역이 얼마나 살기 좋은지를 더 고려하는 편이에요. 이 부분에 있어서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을 것 같아요. 저는 호재보단 현재를 더 고려하는 편이에요.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빌라 장단점 비교 (0) 2022.06.28 아파트 매수 시 고려사항 (0) 2022.06.27